행위 이론과 도덕적 책임

행위가 발생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일은 인류가 오랜 시간 동안 고민해 온 주요 문제 중 하나입니다. 우리는 왜 특정 시점에서 어떤 결정을 내리고, 그 결정이 옳다고 여겨지는지, 혹은 잘못된 결과를 초래했는지를 판단하려고 합니다. 이때 개인의 의도, 동기, 상황 그리고 결과가 복합적으로 엮여 도덕적 평가가 이뤄지며, 이를 철학적으로 체계화하려는 노력이 바로 행위 이론 연구에 해당합니다. 오늘날 도덕적 … Read more

한스 요나스(Hans Jonas)의 책임의 원칙

디지털·생명·에너지 혁명이 동시다발적으로 전개되는 현재, 인류는 전례 없는 번영과 함께 파국적 잠재성을 품고 있습니다. 독일계 유대인 철학자 한스 요나스가 1979년 발표한 『Das Prinzip Verantwortung』은 이러한 딜레마를 간파하며 책임의 원칙을 제시했습니다. 책임의 원칙은 “당신의 행위가 지구상의 미래 생명 조건을 파괴하지 않도록 하라”는 확장된 의무 명령으로, 기존 윤리학이 고려하지 못한 장기적·전지구적 결과를 평가 척도로 삼습니다. 본 글은 … Read more

피터 싱어의 실천윤리학: 확장된 도덕 공동체

“누가 도덕적 관심의 문지방을 지키는가?”라는 물음은 오래전부터 윤리학의 중심 과제로 자리해 왔습니다. 그러나 피터 싱어(Peter Singer)는 이 고전적 질문을 한 걸음 더 밀어붙여, 인간 중심주의를 넘어선 ‘확장된 도덕 공동체’라는 급진적 구상을 제시합니다. 그는 1970년대 『Animal Liberation』을 통해 동물권 운동에 불을 지폈고, 1990년대 이후 세계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한 행동 지침을 제안하며 학문적·사회적 지평을 동시에 확장했습니다. … Read more